Programming Project

시작방학 중, 학교 선생님이 추천해주신 부산로봇경진대회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대회는 여러 종목으로 나뉘었는데, 그중에서 고등학생이 참가할 수 있는 종목은 '미션 투 마스'와 '인공지능 로봇 창작'이 있었습니다. 저는 '인공지능 로봇 창작'이 더 맞는 것 같았지만, 아쉽게도 신청이 마감된 상태였습니다.다행히 '미션 투 마스' 종목에는 참가자가 거의 없었고, 지난 대회에서는 8명이 상을 받았다는 기록을 발견했습니다. 그저 참가만 해도 상을 받을 수 있겠다는 생각에 대회의 규칙도 읽지 않고 바로 신청했습니다. 대회는 개인전이었지만, 혼자 준비하기에 부담이 있어 친구 김규민과 함께 참가하기로 했습니다. 비록 개인전이었지만, 협력하여 함께 상을 받자는 계획이었습니다. 계획방학 동안 다른 프로젝트와 중요한 일들..
1. 프로젝트 소개프로젝트 개요: N-bit 감가산기 진리표 생성기이번 프로젝트는 CMake, 파일 관리,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함수화를 중점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임베디드 시스템을 배우며, 실습 경험을 바탕으로 전기전자 기초와 전자회로 시간에 배운 지식을 실제로 적용해 보고 싶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나만의 CPU를 만드는 꿈을 가지게 되었고, 그 첫걸음으로 감가산기(N-bit Subtractor) 진리표 생성기를 만들게 되었습니다.이 프로젝트는 감가산기의 기본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비트 길이(N-bit)의 감가산기에 대한 진리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GitHub 링크  2. 프로젝트 배경배경: 임베디드 시스템과 전자회로에 대한 호기심임베디드..
부산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2학년으로 재학 중이다. 이 학교는 공부와 코딩을 함께 가르쳐서 어렵기도 하지만 재미있다.1년 넘게 다니다 보니 '프로젝트'라는 개념이 점점 더 명확해지면서도 동시에 희미해지는 느낌이 든다. 나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과에 재학 중인데, 임베디드 분야는 제대로 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가 쉽지 않다. 재료비가 비싸고, 정보가 부족하며, 마이너한 분야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서 평소에는 프로젝트를 별로 하지 않았다.해커톤에는 자주 참여하지만, 해커톤의 특성상 짧은 시간 안에 구현해야 해서 원하는 완성도를 얻기가 어렵다. 그 결과 블로그에 정리할 때 자괴감이 들기도 한다. 그러던 중, 친한 친구가 Kenji라는 사람의 GitHub를 추천해주었다.Kenji의 GitHub kenjino..
2023 BSSM 교내 네트워크 대회란? 2023 BSSM 교내 네트워크 대회는 부산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1학년이 정보처리산업기사 자격증을 위한 과정형평가 네트워크 시간의 2인 1프로젝트를 제작하여 우수한 작품을 겨루는 교내대회입니다. 우리팀 2인 1조인 우리팀의 팀원은 Front-end였다. 네트워크 대회에서는 Front, Back, Design, DB, IoT까지 모든것을 다해야하므로 팀배정은 평타이상이었다. 아이디어 우리는 아이디어를 고르면서 뭔가 단순하면서 재미있으면서 쉬운것을 고르려고 했다. 우리팀은 우승에 목적이 없었기 때문에 그냥 스마트팜 업그레이드버전 같은 아이디어를 선택했다. 아이디어를 정리하자면 모바일로 식물의 온도, 습도, 수분과 식물의 사진을 확인하여 가정용 스마트팜같은 느낌이다..
d0ngwook7
'Programming Project' 카테고리의 글 목록